세인트 버나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인트 버나드는 2세기경 로마 제국군의 군견에서 유래된 대형견으로, 스위스 알프스 산맥의 그랑 생 베르나르 수도원에서 조난자를 구조하는 구조견으로 활용되었다. 1707년 기록이 존재하며, 17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2,500명 이상의 조난자를 구조했다. 1884년 스위스 세인트 버나드 클럽이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스위스 혈통 등록부에 최초로 등록되었다. 1888년 품종 표준이 승인되었고, 스위스의 국견이 되었다. 1850년대에는 뉴펀들랜드 등 다른 품종과의 교배를 통해 현재의 외모를 갖추게 되었다. 세인트 버나드는 온순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영화, 소설, 애니메이션 등 대중매체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와 동물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아시시의 프란치스코는 12세기 후반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가톨릭 성인이자 프란치스코회의 창시자로, 세속적인 삶을 버리고 가난과 봉사의 삶을 통해 청빈, 겸손, 헌신을 강조하며 복음을 전파하고 자연과 소외된 이들을 사랑했다. - 기독교와 동물 - 로코
로코는 14세기 프랑스 몽펠리에 출신으로 흑사병 환자를 간호하다 기적적으로 치유된 후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고 순례를 떠났으며, 흑사병 환자를 헌신적으로 돌보다 흑사병의 수호성인으로 숭배받는다. - 사역견 - 그레이트 데인
그레이트 데인은 마스티프와 시각견의 특징을 가진 큰 개 품종으로, 16세기 유럽 귀족의 사냥개에서 유래하여 갈색곰이나 멧돼지 사냥에 사용되었으며, "개들의 아폴로"라는 별칭과 달리 독일 원산임에도 불구하고 덴마크와 연관된 이름으로 불리며, 온순한 성격에도 불구하고 건강 문제에 취약하고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하게 등장한다. - 사역견 - 도베르만 핀셔
도베르만 핀셔는 카를 프리드리히 루이스 도베르만이 여러 견종을 교배하여 만든 핀셔형 경비견으로, 뛰어난 지능과 충성심을 지녔으며 군견, 경찰견 등으로 활동하고, 다양한 모색을 가지나 유전적 질환과 연관될 수 있고, 경계심이 강하고 특정 질병에 취약하다. - 개 품종 - 콜리
콜리는 스코틀랜드에서 유래한 양치기 개 품종으로, 훈련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털 색깔과 털 길이를 가지며, 래시와 같은 캐릭터로 대중에게 알려져 있다. - 개 품종 - 블러드하운드
블러드하운드는 뛰어난 후각 능력을 가진 대형견으로, 온순한 성격과 강한 추적 본능을 지니고 있으며, 사냥, 수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경찰견이다.
세인트 버나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Saint Bernhardog St. Bernhardshund Bernhardiner Alpine Spaniel |
별칭 | 세인트 |
원산지 | 이탈리아 스위스 |
신체적 특징 | |
무게 | male: 64-82 kg female: 54-64 kg |
키 | male: 70-90 cm female: 65-80 cm |
털 | 매끄럽거나 거침 |
털 색깔 | 흰색과 붉은색 계열, 또는 흰색과 마호가니색 얼룩무늬 |
수명 | 8-10년 |
품종 표준 | |
FCI | 세인트 버나드 품종 표준 |
ANKC | 세인트 버나드 품종 표준 |
CKC | 세인트 버나드 품종 표준 |
JKC | 세인트 버나드 품종 표준 |
KCUK | 세인트 버나드 품종 표준 |
NZKC | 세인트 버나드 품종 표준 |
UKC | 세인트 버나드 품종 표준 |
그룹 | |
ANKC | 유틸리티 그룹 |
CKC | 워킹 그룹 |
FCI | 그룹 2 |
JKC | 제2그룹 |
KCUK | 워킹 그룹 |
NZKC | 유틸리티 |
UKC | 가디언 독 |
2. 역사
세인트 버나드는 2세기경 로마 제국군의 군견으로 알프스 산맥에 유입된 모로시안독이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 중반부터 스위스 알프스의 그랑 생 베르나르 수도원에서 눈 속에 조난당한 사람들을 구조하는 구조견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46] 특히 평생 40명의 조난자를 구조한 배리는 유명하며, 그의 활약을 기념하여 한때 이 견종을 '바리 하운드'(바리견)라고 부르기도 했다.
19세기 초, 질병과 선천적 질환으로 멸종 위기에 놓였으나, 뉴펀들랜드와의 교배를 통해 종을 유지할 수 있었다. 1884년, 그랑 생 베르나르 수도원의 이름을 따서 '세인트 버나드'로 명명되었다.[47][48]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세인트 버나드는 적십자를 지원하여 이탈리아 산악 지대에 물품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다.[14]
'''알파인 마스티프(Alpine Mastiff)'''는 세인트 버나드의 원종이며, 현재 이 이름은 세인트 버나드의 별칭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2. 1. 초기 역사와 품종 개량
세인트 버나드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707년 그랑 생 베르나르 수도원의 수도사들이 남긴 것이며, 개를 묘사한 그림은 그보다 더 이전 시기의 것도 있다.[8] 초기 영국 기록에서는 이 견종을 '''알파인 스패니얼'''로 묘사했다.[9] 수도원에서 이 개들이 사용되었다는 최초의 증거는 이탈리아 화가 살바토레 로사가 1690년에 그린 두 점의 그림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개들의 묘지에는 배리(Berry라고도 함)의 기념비가 있으며, 그의 사체는 베른 자연사 박물관(베른 소재)에 보존되어 있다.[10]1816년부터 1818년까지의 혹독한 겨울은 눈사태 발생 건수를 증가시켜 구조 활동 중이던 많은 개들이 죽게 되었다.[11] 견종을 보존하기 위한 시도로, 남은 세인트 버나드들은 1850년대에 뉴펀들랜드(뉴펀들랜드 식민지(현재의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출신)와 다른 품종들과 교배되었다. 이로 인해 외모와 능력에 상당한 변화가 생겼다. 그들이 물려받은 긴 털은 알프스의 눈 덮인 기후에서 얼어붙어 체중을 늘리고 구조견으로서의 효율성을 떨어뜨렸다.[12]
수도사들은 개들에게 특별한 훈련을 시키지 않았다. 대신 어린 개들은 나이 든 개들에게서 수색 및 구조 활동 방법을 배웠다.[13]
스위스 세인트 버나드 클럽은 1884년 3월 15일 바젤에서 설립되었다. 세인트 버나드는 1884년 스위스 혈통 등록부에 등록된 최초의 견종이었으며, 품종 표준은 1888년에 최종 승인되었다. 그 이후로 이 견종은 스위스의 국견이 되었다.[8]
2. 2. 명칭의 유래
"세인트 버나드"라는 이름은 스위스와 이탈리아 사이에 있는 위험한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Great St Bernard Pass)에 있는 여행자 숙소인 그랑 생 베르나르 수도원(Great St Bernard Hospice)에서 유래했다.[4] 이 고개, 숙소, 그리고 개들은 11세기 이탈리아의 수도사인 베르나르두스 드 멘토니를 기념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19세기 중반까지는 "세인트 버나드"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그 이전에는 이 개들을 "성견(Saint Dogs)", "고귀한 말(Noble Steeds)", 또는 "배리견(Barry Dogs)"이라고 불렀다.
3. 특징
세인트 버나드는 국제적으로 마스티프형견 종류 중 하나로 인정받는 대형견이다.[6] 털은 매끄럽고 짧고 납작하게 붙어 있으며, 장모종과 단모종 두 종류가 있다.
색깔은 주로 흰색 바탕에 크고 작은 적갈색 반점이 있으며, 밝은 적갈색 또는 진한 적갈색의 망토 무늬가 가장 가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얼룩덜룩한 적갈색과 갈색을 띤 노란색도 허용되지만, 선호도가 낮다. 꼬리는 길고 무겁고 높이 달려 있다. 눈 색깔은 연한 갈색에서 진한 갈색까지 다양하며, 눈꺼풀은 자연스럽게 꽉 조여져 있고, 제3안검은 약간만 보이는 것이 좋다.[7]
구 분 | 내 용 |
---|---|
초대형견 | O |
털 종류 | 장모종, 단모종 |
털 색깔 | "흰색 바탕에 붉은색" 또는 "붉은색 바탕에 흰색" |
체고 | 수컷 70~90cm, 암컷 65~80cm |
체중 | 50~91kg |
수명 | 8~10년 |
가장 큰 개체는 1970년 미국 미시간주에서 태어난 "베네딕틴 슈바르츠발트"로, 체고가 99cm, 체중이 무려 138kg에 달했다고 한다.
3. 1. 성격 및 기질
온순한 거구의 대표적인 예로 알려져 있으며, 어른, 특히 아이들에게 차분하고, 참을성 있고, 다정한 견종이다. 전반적으로 온화하고, 충성스럽고, 애정이 깊으며, 사회화가 잘 되었다면 매우 친근하다.[35][36] 보통 본능적으로 보호적인 성향은 아니지만, 낯선 사람에게 짖을 수 있으며, 그 크기 때문에 잠재적인 침입자를 막는 데 효과적이다.[35][36]세인트 버나드는 작업 동반자로 사육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주인을 기쁘게 하기 위해 살아가며, 온화하지만 성실한 일꾼이다. 후각 능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훈련사의 기술과 개의 재능에 따라 추적 행사나 수색 및 구조 작업에 참여할 수도 있다.[37]
SBS TV의 《TV 동물농장》에서 세인트 버나드 품종인 베니가 소개되었다. 베니는 자식들에게도 방어적 공격성을 나타내 옥상에 분리돼 지내고 있었다. 전문가는 성격이 사나워진 이유로 과도한 스트레스 등을 꼽았다.[49]
3. 2. 건강 문제

세인트 버나드는 평균 수명이 짧고 여러 질병에 취약한 품종이다. 2024년 영국 연구에 따르면 평균 수명은 9.3년으로, 순종견(12.7년) 및 잡종견(12년)에 비해 짧다.[24] 2005년 스웨덴 보험 데이터 연구에서는 세인트 버나드의 74%가 10세 이전에 사망하여 전체 개 사망률(35%)보다 높게 나타났다.[25]
골육종(골암)은 유전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6] 또한, ARHGEF10 유전자 돌연변이는 샤르코-마리-투스병과 유사한 유소년기 발병 유전성 다발신경병증과 관련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7]
세인트 버나드는 족부 핥기 피부염, 사타구니 피부염, 피부 동맥염, 점액낭, 화농성 외상성 피부염 등 다양한 피부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28]
확장성 심근증(DCM) 발병률도 높은 편이다. 미국 수의학 기록 연구에 따르면 세인트 버나드의 2.6%가 DCM을 앓고 있는 반면, 잡종견은 0.2%에 불과했다.[29] 영국 연구에서는 DCM 사례 369건 중 20건이 세인트 버나드였으며, 이 중 72%가 심방세동을 보였다.[30]
개 고관절 이형성증에 가장 취약한 품종 중 하나이며, 개 슬개골 탈구(CCLD)에도 취약하다. 북미 27개 수의과대학 병원 자료에 따르면 세인트 버나드의 14.70%가 개 고관절 이형성증을, 3.57%가 개 슬개골 탈구를 앓고 있었다. 두 질환 모두를 앓는 경우도 1.19%로 세 번째로 높았다.[31]
위 팽만 및 염전(GDV)에도 매우 취약하다. 1,934건의 GDV 사례를 검토한 결과, 세인트 버나드의 오즈비는 4.2였다.[32] 영국 건강 조사에서는 개의 4.6%가 GDV를 앓고 있으며, 15.1%는 이로 인해 사망했다.[33] 캘리포니아 연구에서는 제출된 개의 3.76%가 GDV를 앓고 있었다.[34]
4. 현대의 활동
세인트 버나드는 더 이상 알프스 구조 활동에 사용되지 않으며, 마지막으로 기록된 구조 사례는 1955년이었다.[8] 2004년까지도 그랑 생 베르나르 수도원에서는 전통과 감정적인 이유로 18마리의 세인트 버나드를 계속 보유하고 있었다.[8] 소산통로와 프랑스 측의 로지에르몽발장 마을에서는 세인트 버나드를 기념하는 연례 행사가 열린다.
5. 한국에서의 세인트 버나드
SBS TV의 《TV 동물농장》에서 세인트 버나드 품종인 '베니'가 소개되었다. 베니는 자식들에게도 방어적 공격성을 나타내 옥상에 분리돼 지내고 있었다. 전문가는 성격이 사나워진 이유로 과도한 스트레스 등을 들었다.[49]
도쿄소방청의 특별구조대와 소방구조기동부대(하이퍼레스큐)에서는 세인트 버나드가 그려진 휘장을 차량과 대원들의 어깨에 부착하고 있다.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세인트 버나드는 영화, 애니메이션, 소설 등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등장한다. 특히 오래된 영화, TV 시리즈, 고전 만화에서는 목에 작은 브랜디 통을 걸고 있는 모습으로 자주 묘사되곤 했다. 눈사태에 매몰된 사람들이 구조를 기다리는 동안 브랜디를 마셔 체온을 유지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는 의학적으로는 사실이 아니다. 생 베르나르 수도원 수도사들은 세인트 버나드가 목에 통을 멘 적이 없다고 부인하며, 이러한 이미지는 1820년 에드윈 랜드시어가 그린 그림 ''알프스 마스티프가 고통받는 여행자를 소생시키다''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한다.[38]
19세기에는 실제로 브랜디를 운반한 세인트 버나드 '배리'에 대한 기록이 있다. 1823년 토마스 바이어리의 ''더 퍼시 일화''에 따르면, 배리는 12년 동안 40명의 목숨을 구했으며, 노령으로 은퇴한 후에는 베르네이에서 연금을 받으며 여생을 보냈다고 한다. 배리가 죽은 후 그의 가죽은 박제되어 박물관에 보관되었고, 그가 산에서 만난 여행자들을 위해 소생주를 담았던 작은 병은 여전히 그의 목에 걸려 있었다.[40]
이 외에도 세인트 버나드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잭 런던의 소설 야성의 부름
- 스티븐 킹의 소설 쿠조
- 山上たつひこ의 만화 '알프스 개방'
- 게임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6. 1. 영화
세인트 버나드가 등장하는 영화는 다음과 같다.영화 시리즈
- 베토벤 시리즈: 1992년 영화 베토벤을 시작으로, 친절하지만 말썽꾸러기인 털이 긴 세인트 버나드 '베토벤'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후속편에서는 베토벤과 그의 짝, 그리고 그들의 장난꾸러기 강아지들이 등장한다. 베토벤 2 제작자에 따르면, 영화 촬영 중 세인트 버나드들이 너무 빨리 자랐기 때문에 네 마리 강아지(차이코프스키, 처비, 돌리, 모)와 어미(미시)를 연기하기 위해 100마리가 넘는 세인트 버나드 강아지들이 캐스팅되었다고 한다.
- 쿠조: 1981년 스티븐 킹의 소설 쿠조와 이를 바탕으로 한 1983년 영화 쿠조에 등장하는 세인트 버나드이다. 광견병으로 인해 온순했던 성격이 잔혹하게 변하여 메인주 캐슬록의 가상 마을 주민들을 공포에 떨게 한다.
6. 2. 애니메이션
- 알프스 소녀 하이디 (1974) - 요제프라는 이름의 세인트 버나드가 등장한다. 애니메이션에만 등장하며 원작에는 등장하지 않는다.[46]
- 아라이구마 라스칼 - 하우저라는 이름의 세인트 버나드가 등장한다.
- 파리권 폴리머 - 주인공이 일하는 탐정 사무소에서 기르는 "남작"이라는 이름의 세인트 버나드가 등장한다. 이 개는 항상 마음속 표현으로 인간의 말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다.
- 여름의 아라시! - 조세핀이라는 이름의 세인트 버나드가 등장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2기 3화부터 등장한다.
- 아이돌마스터 - 이누미라는 이름의 세인트 버나드가 등장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16화부터 등장한다. 원작(게임)에서는 아이돌마스터 SP(PSP판)부터 등장하지만, 프로듀서(주인공)에게 곰 같은 개, 괴물 같은 거대한 개라고 불렸을 뿐 그림이 없었다. 애니메이션에 의해 처음으로 견종이 밝혀졌다.
6. 3. 소설
- 잭 런던의 1903년 소설 야성의 부름에서 주인공 벅은 세인트 버나드와 스코틀랜드 셰퍼드의 잡종으로 묘사되지만,[43][44] 최소한 여섯 편의 영화 버전 중 한 편에서는 순종 세인트 버나드로 묘사되었다.[45]
- 스티븐 킹의 1981년 소설 쿠조와 1983년 동명의 영화 쿠조에 등장하는 개는 광견병으로 인해 온순했던 성격이 잔혹하게 변해 메인주(Maine) 캐슬록(Castle Rock)의 가상 마을 주민들을 공포에 떨게 한다.
6. 4. 기타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의 시 "엑설시어"에는 "이상한 장치가 그려진 깃발"을 든 채 생 베르나르 패스를 건너려다 얼어붙은 여행자의 시신을 발견한 이름 없는 "충실한 사냥개"가 등장한다.[40]비디오 게임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에는 행크 앤더슨 중위가 소유한 "스모"라는 이름의 세인트 버나드가 등장한다.
山上たつひこ의 만화 '알프스 개방'이 있다.
6. 5. 유명한 세인트 버나드

생 베르나르 고개에서 사람들을 구조한 가장 유명한 세인트 버나드는 배리(Berry라고도 함)로, 40명에서 100명의 목숨을 구했다고 알려져 있다. 개들의 묘지에는 배리의 기념비가 있으며, 그의 사체는 베른 자연사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10]
또 다른 유명한 개는 이탈리아 사제 피에르 샤누의 충실한 동반자였던 루토르로, 작은 생 베르나르 고개 위에 있는 뤼토르 봉우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1]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세인트 버나드는 적십자를 도와 이탈리아 산악 지대에 주둔한, 노새나 말이 접근할 수 없는 곳에 있는 부대에 물품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다.[14]
유명한 세인트 버나드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배처러: 리츠칼튼 배처 굴치의 거주견
- 버튼즈우드 (보시 부츠): 영국 및 아일랜드 크루프츠 최고 챔피언 (1974), 사육자는 고(故) 마조리 힌즈 여사
- 밤세: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활약으로 스코틀랜드 몬트로즈의 기념 동상에 기려진 노르웨이 개, 동물 용감함에 대한 PDSA 골드 메달 수상
- 배리: 유명한 알프스 구조견
- 버니: 콜로라도 애벌랜치 마스코트
- 버니 "세인트" 버나드: 뒤뷰크 세인츠의 마스코트
- 버니: 노샘프턴 세인츠 마스코트
- 검보: 뉴올리언스 세인츠의 팀 마스코트
- 포르토스: J. M. 배리의 개
- 슈노르비츠: 후반 경력 동안 영국 코미디언 버니 윈터스의 무대 파트너
- 쇼치와 쇼치 "02": 신시내티 레즈 구단주의 사랑받는 애완동물이자 마스코트
- 스키피오: 오빌 라이트가 소유한 세인트 버나드[41]
- 셜리 템플과 세인트 버나드 친구[42]
- 월리스 (현재 월리스 VI): 캐나다 스코틀랜드 연대(프린세스 메리) 마스코트
7. 관련 견종
이 품종은 잉글리시 마스티프와 매우 유사하다. 현대의 세인트 버나드는 그랑 생 베르나르 수도원에서 길러졌던 원래의 개들과는 크기와 체격에서 많이 다르다. 1800년대 후반 이후로 세인트 버나드는 몰로서 타입의 여러 다른 대형 품종들을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개량되어 왔는데, 여기에는 뉴펀들랜드, 그레이트 피레니즈, 그레이터 스위스 마운틴 독, 그레이트 데인, 잉글리시 마스티프, 그리고 티베탄 마스티프와 코카서스 셰퍼드 독도 포함될 것으로 추정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멸종 위기에 처했을 때 이들 대형 품종들 중 많은 수가 서로 교배되어 개량된 것으로 보이며, 이것이 오늘날 볼 수 있는 세인트 버나드의 탄생에 이들 모두가 관여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네 가지의 세넨훈트(스위스 산악견) 품종인 그로서 스바이처 세넨훈트(그레이터 스위스 마운틴 독), 베르너 세넨훈트(베르네 산악견), 아펜첼러 세넨훈트(아펜첼러 산악견), 엔틀레부허 세넨훈트(엔틀레부허 산악견)는 세인트 버나드와 외모가 유사하며, 기원과 역사를 공유하지만, 세인트 버나드처럼 적갈색과 흰색 또는 마호가니 브린들과 흰색이 아니라 삼색(검정, 황갈색, 흰색)이다.
러시아군견장에서는 세인트 버나드를 코카서스 셰퍼드 독과 교배하여 오늘날 러시아에서 군견으로 여전히 사용되는 모스크바 워치독을 만들었다. 세인트 버나드는 가축 수호견 품종의 많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aint Bernard Breed Standard
http://www.fci.be/No[...]
2016-08-09
[2]
웹사이트
AKC breed standard
https://www.akc.org/[...]
[3]
잡지
A brief history of the St Bernard rescue dog
https://www.smithson[...]
2016-08-05
[4]
웹사이트
Saintly Bernards Rescue - History
http://members.petfi[...]
members.petfinder.com
[5]
웹사이트
The St Bernard: the making of an Alpine legend
https://www.houseofs[...]
House of Switzerland
2017-05-12
[6]
웹사이트
Breeds nomenclature
http://www.fci.be/No[...]
Fédération Cynologique Internationale
2014-01-15
[7]
웹사이트
Saint Bernard Standard
https://www.fci.be/N[...]
2024-02-14
[8]
웹사이트
St. Bernard, Vertebrate Animals Department
http://www-nmbe.unib[...]
Naturhistoriches Museum der Burgergemeinde Bern
2014-10-10
[9]
서적
Biographical Sketches and Authentic Anecdotes of Dogs
https://archive.org/[...]
Simpkin & Marshall
2009-11-21
[10]
웹사이트
The Legendary Barry at the Natural History Museum
http://www.nmbe.ch/d[...]
Naturhistorisches Museum der Burgermendiz Bern
2011-03-20
[11]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St. Bernard Rescue Dog: The canine's evolution from hospice hound to household companion
http://www.smithsoni[...]
Smithsonian magazine
2008-01-01
[12]
서적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Dogs
Howell Book House
[13]
웹사이트
Dogs Learn by Modeling the Behavior of Other Dogs
http://www.psycholog[...]
[14]
서적
History of the World War
Doubleday Page & Company
[15]
웹사이트
Les chiens d'avalanche
http://www.notrehist[...]
[16]
웹사이트
St Bernard breeding: why Barry got a bigger head
http://www.swissinfo[...]
2014-07-10
[17]
웹사이트
St Bernard
https://www.thekenne[...]
2024-02-14
[18]
웹사이트
St Bernard
https://www.akc.org/[...]
2024-02-14
[19]
웹사이트
Saint Bernard
https://www.ckc.ca/e[...]
2024-02-14
[20]
웹사이트
Saint Bernard
https://www.ukcdogs.[...]
2024-02-14
[21]
웹사이트
St Bernard
https://dogsaustrali[...]
2024-02-14
[22]
웹사이트
St Bernard
https://www.dogsnz.o[...]
2024-02-14
[23]
뉴스
The Little Saint Bernard pass, dog parade
http://www.ledauphin[...]
Le Dauphiné Libéré
2016-08-05
[24]
논문
Longevity of companion dog breeds: those at risk from early death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4-02-01
[25]
논문
Mortality in over 350,000 Insured Swedish Dogs from 1995–2000: II. Breed-Specific Age and Survival Patterns and Relative Risk for Causes of Death
2005-09-30
[26]
논문
Frequency of osteosarcoma among first-degree relatives of St. Bernard dogs
[27]
논문
An ARHGEF10 Deletion Is Highly Associated with a Juvenile-Onset Inherited Polyneuropathy in Leonberger and Saint Bernard Dogs
PLOS
2014-10-02
[28]
서적
Small Animal Dermatology
Saunders
2016-09-19
[29]
서적
Textbook of Canine and Feline Cardiology
Saunders
1999
[30]
논문
Canine dilated cardiomyopathy: a retrospective study of signalment, presentation and clinical findings in 369 cases
2009
[31]
논문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hip dysplasia and cranial cruciate ligament deficiency in dogs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AVMA)
2008-06-15
[32]
논문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gastric dilatation and dilatation-volvulus in dogs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AVMA)
1994-05-01
[33]
논문
Mortality and morbidity due to gastric dilatation‐volvulus syndrome in pedigree dogs in the UK
2010
[34]
논문
Prevalence of inherited disorders among mixed-breed and purebred dogs: 27,254 cases (1995–2010)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AVMA)
2013-06-01
[35]
서적
A New Owner's Guide to Saint Bernards
https://archive.org/[...]
T.F.H.
[36]
서적
Saint Bernards A Complete Pet Owner's Manual
https://archive.org/[...]
Barrons
[37]
서적
Saint Bernards: Everything About Purchase, Care, Nutrition, Breeding, Behavior and Training (Barron's Complete Pet Owner's Manuals)
[38]
웹사이트
Legend of the St. Bernard Barrel
http://www.acay.com.[...]
2016-01-19
[39]
웹사이트
The Great St. Bernard Hospice Today
http://www.acay.com.[...]
2006-01-26
[40]
서적
The Percy Anecdotes
https://books.google[...]
T. Boys
2018-04-15
[41]
서적
Wilbur & Orville Wright: taking flight
https://books.google[...]
Carolrhoda, Inc.
2012-01-06
[42]
이미지
friend
http://1.bp.blogspot[...]
[43]
소설
The Call of the Wild
[44]
웹사이트
Name That Breed – A Collie By Any Other Name…
http://www.oldtimefa[...]
Old-Time Farm Shepherd
2012-10-09
[44]
웹사이트
Defining a Breed: An Apologia of the OTFS
http://www.oldtimefa[...]
2012-10-09
[45]
영화
The Call of the Wild
1935
[45]
영화
The Call of the Wild: Dog of the Yukon
https://www.imdb.com[...]
Internet Movie Database
2012-10-08
[45]
웹사이트
Leonberger Facts
http://www.akc.org/d[...]
American Kennel Club
2012-10-08
[45]
영화
The Call of the Wild
1908
[45]
영화
The Call of the Wild
1923
[45]
영화
The Call of the Wild
1972
[45]
영화
Call of the Wild 3D
2009
[45]
영화
The Call of the Wild
1976
[45]
영화
The Call of the Wild
1993
[45]
시리즈
Call of the Wild
2000
[46]
서적
世界一豊かなスイスとそっくりな国ニッポン
講談社
[47]
언어
Saint-Bernard
[48]
문서
스위스의 다른 주요 언어
[49]
뉴스
https://www.newsen.c[...]
2024-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